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하 ‘음공협’)가 무너진 대중음악 공연산업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안 마련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대중음악 공연업계는 그동안 공연 현장에서 정부, 지자체 실무자의 요구를 순응하고 현장 지침을 개선해 왔다. 높은 수준의 방역 체계를 지켜왔으나 여타 공연 장르와 달리 1년 5개월 동안 정상적인 공연 정부, 관계 부처, 지자체의 태도에 유감을 표했다. 음공협은 “지난 1년 반 이상 아무런 영업 활동을 하지 못한 채, 정부의 코로나 19 방역 조치에 최대한 협조하며 고통과 희생을 감내해 왔지만 내려진 결과는 매출 90% 감소뿐”이라며 “강제적인 취소 및 연기로 인한 줄도산과 폐업 문제도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음공협이 이번 <대중음악 공연산업 대정부 성명서>에서 요구한 내용은 △대중음악 공연과 문화 다중이용시설 및 타 장르 공연과의 차별 금지 △향후 계획 수립을 위한 일관성 있는 코로나19 방역 지침 제정 △지침에 따라 행정명령에 의해 공연 취소 시 피해 보상 △거리두기 3단계에서의 공연 개최 보장 △백신 접종자의 대중음악공연 관람 기준 마련 △무너진 대중음악 공연산업에 대한 해결 방안 제시 등이다.
음공협 측은 이번 성명문 발표를 통해 “대중음악공연 종사자들은 그간 정부의 일관성 없는 방역지침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와 아무런 보호조차 받고 있지 못한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대중음악공연산업의 붕괴로 공연 기획, 제작사 뿐만 아니라 프로덕션 업체와 종사자, 무대 위에 출연자들까지도 피해를 입게 된다“고 호소했다.
이어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업체와 종사자, 무대 위 주인공인 가수와 연주자가 다른 일자리로 생계를 유지하거나 신용불량자가 됐다는 소식은 이제 마스크만큼이나 흔한 일상”이라며 업계에 대한 관심과 방역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대중음악 공연 산업 대상의 차별적 방역 지침이 한국 문화 산업의 위상을 높인 케이팝(K-POP) 업계를 떠받치는 생태계에 위협이 된다는 지적이다.
한편, 음공협은 정부 각 관련 부처에 성명서를 보내고, 다음 주 성명서 발표 및 대중음악공연업계 현 시국 성토를 위한 기자회견에 참석해 줄 것을 요청했다.
올댓아트 송지인 에디터
allthat_art@naver.com
자료|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콘텐츠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