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을 잡아준 것이 그림입니다.
여러분에게 ‘예술’은 어떤 존재입니까?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별도의 시간을 내어야만 할 수 있는 것, 아마 대다수의 사람들이 갖고 있는 ‘예술’에 대한 고정관념일 것입니다. 결혼 후 독립한 두 아들들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그림을 시작한 한옥란 여사도, 30년 공무원 생활에 취미란 그저 남의 일이라 생각했던 한춘근 선생의 생각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내게 온(ON) 예술’을 접하기 전까지는 말이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이규석, 이하 교육진흥원)이 11월 3일부터 한 달간 ‘내게 ON 예술‘ 캠페인을 펼칩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를 높이고 예술적 감성을 자극하고자 기획된 캠페인인데요. 봄이 흐르고 여름이 찾아오듯 가을을 건너 겨울을 마주하듯 평범한 사람들의 삶 깊숙이 들어온 예술은 어떤 모습일까요?
교육진흥원 관계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대부분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이 비대면으로 전환되고 수업의 형태도 다양해지는 등 많은 변화의 국면을 맞이했다”며 “이 캠페인을 접하고 참여한 많은 이들이 자신 안에 숨겨진 예술성을 발견하고,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상황이 상황이다 보니 금년도 ‘내게 ON 예술 캠페인’은 온라인 콘텐츠를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크게는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며 긍정적 변화를 경험한 남녀노소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기획 영상 ‘라이프‘, 문화예술계 명사들의 릴레이 칼럼과 인터뷰로 구성된 ‘스토리‘, 내 안에 잠재된 예술성을 깨우고 이를 SNS에 공유하는 형식으로 참여하는 ‘챌린지‘ 등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었는데요. 간략하게 프로그램들을 ‘미리 보기’ 해볼까요?
예술과 만나 다채로워진 일상
‘라이프’
먼저 교육진흥원의 기획 영상 시리즈인 ‘라이프’는 앞서 언급한 두 사람을 비롯해 4명의 어르신들이 주인공인 ‘시작’ 편입니다. 인생 황혼기, 문화 예술 교육을 통해 자신의 삶을 새롭게 가꿔가는 이들의 솔직 담백한 이야기는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는데요. ‘내공’으로 채워진 ‘연륜’이 고스란히 전해집니다.
이외에도 성격, 취미가 다른 두 손자와 할머니들이 무대를 매개로 함께 소통하고 이해해가는 ‘함께’ 편, 강원도 홍천의 서석중학교 학생들이 음악으로 마음속 예술 씨앗을 심고 하모니를 이루는 ‘씨앗’ 편이 차례로 공개됩니다.
예술가가 전하는 일상 속 예술 이야기
‘스토리’
예술적 삶이란 취향을 탐색하는 삶이다. 일상이 아름다움을 잃지 않고 예술이 스토리를 잃지 않는다면, 일상이 예술이 되고 예술이 일상이 되는 삶이 가능하다.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
예술가. 가깝지만 너무 먼 당신이라고요? 각계각층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9명의 예술가들이 참여한 ‘스토리’를 보면 생각이 달라질지도 모릅니다. 이들은 일상 속 문화예술의 가치를 주제로 인터뷰, 에세이, 칼럼 등 다양한 형태의 연재물을 선보입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안은미 무용가는 “춤을 출 때 두 팔을 펼침으로써 일상의 고단함에서 벗어나게 된다. 나는 워크숍 참여자들이 몸을 움직이면서 삶을 변화시키는 순간을 수도 없이 목격했다“며 일상을 변화시키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전하기도 했는데요. 독자 여러분 역시 술술 읽히는 글 속에서 내 안의 예술 본능이 살아나는 신비로운 경험을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안은미 무용가 외에도 바이올린 연주가 조진주, 현대미술 작가 이해강, 공연 칼럼니스트 박병성, 연극 예술강사 황보람, 「대리사회」 저자 김민섭 작가, <찬실이는 복도 많지> 김초희 영화감독, 가수 겸 작가 이랑, 김소진 판소리 소리꾼의 글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식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부 예술가들의 콘텐츠는 11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네이버 공연전시판을 통해 연재되니 놓치지 마세요.
No
|
이름
|
소개
|
형태
|
1
|
안은미
|
현대무용가, 안은미컴퍼니 대표
2016년 제16회 한불문화상 수상 등 |
인터뷰
|
2
|
황보람
|
학교와 사회노인 분야에서 연극 예술강사로 활동 중.
|
에세이
|
3
|
이랑
|
싱어송라이터, 영화감독, 일러스트레이터, 작가
앨범 <욘욘슨> <신의놀이>, 저서 <내가 30代가 됐다> <좋아서 하는 일에도 돈은 필요함니다> 외 |
에세이
|
4
|
김초희
|
영화감독
영화<찬실이는 복도 많지> |
에세이
|
5
|
박병성
|
공연 칼럼니스트
<더뮤지컬> 편집장 역임. 저서 <뮤지컬 탐독> |
칼럼
|
6
|
조진주
|
바이올린 연주가, 작가
저서<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
에세이
|
7
|
김소진
|
판소리 소리꾼.
국립극장 차세대 명창, 판소리만들기 ‘자’ 단원, 타니모션 소속. |
인터뷰
|
8
|
김민섭
|
작가
저서<대리사회>, <당신이 잘되면 좋겠습니다> |
에세이
|
9
|
이해강
|
일러스트레이터, 현대미술 작가
내게ON예술 캠페인 디자인 참여 |
인터뷰
|
터치해서 ON!
내 안의 예술가 찾기
요즘 대세는 챌린지죠!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예술체험 온라인 챌린지 ‘내 안의 예술가 찾기‘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예술가의 유형을 고르고, 좋아하는 예술 활동을 재미있게 구현하는 이 챌린지는 SNS에 공유 후 일상 속 예술 경험을 나눌 수 있도록 기획되었는데요. 11월 3일부터 11월 24일까지 짧고 굵게 이어집니다.
챌린지 제작에 참여한 이해강 작가는 “각각에 성향에 맞게 유명 예술가들의 상징적인 요소들을 접목해서 캐릭터를 만들었다. 또한 사용자가 예술을 작지만 의미 있게 체험해 보고, 예술이라는 것이 재미있게 느껴졌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작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작가의 작품이 담긴 패브릭 포스터와 배지를 증정하는 인스타그램 이벤트도 놓치지 마세요!
한편 <내게 ON 예술> 캠페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내게 ON 예술> 캠페인 누리집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식 채널(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댓아트 김지윤 에디터
allthat_art@naver.com
자료 및 사진 ㅣ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콘텐츠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