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김지윤 에디터’s pick] 괜찮아요? 많이 덥죠? 우리 소리와 놀이로 시원하게 즐겨요!

    on

    |

    views

    and

    comments

    레츠 국악(Let’s Gugak)

    국립극장은 외국인 대상 전통공연예술 온라인 강의 레츠 국악(Let’s Gugak)812부터 국립극장 공식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다. 국립극장 외국인 국악아카데미프로그램을 영상에 담은 레츠 국악(Let’s Gugak)의 두 번째 시리즈로, 한국 전통공연예술을 친근하게 배울 수 있다.

    국립극장 외국인 국악아카데미는 한국 문화에 관심 있는 외국인들을 위한 전통공연예술 교육 프로그램이다. 기존에는 국내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대면 강의를 진행해왔으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1레츠 국악(Let’s Gugak)이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강의 영상을 처음 선보였다.



    레츠 국악(Let’s Gugak)

    레츠 국악(Let’s Gugak)는 학습 연속성을 고려해 첫 번째 시리즈에서 공개한 사물장구판소리한국무용 총 3개 분야 교육 영상과 이어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분야별로 3편씩 총 9편의 영상을 매주 목요일 1편씩 공개한다.

    812일부터는 사물장구를 다루며 국립국악관현악단 단원 연제호가 구음 익히기, 궁채 치는 법 등을 쉽고 친근하게 알려준다. 92일부터는 소리꾼 문수현의 판소리강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전 외국인 국악아카데미수강생들이 학습 도우미로 출연해 판소리 춘향가사랑가를 함께 배워본다. 굿거리자진모리의 기본 동작을 익히는 한국무용영상은 923일부터 공개되며, 댄스앤미디어연구소 연구원이자 무용 교육자인 유화정이 강사로 나선다.

    이번 영상은 더욱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영어 자막뿐 아니라, 중국어·일본어 자막까지 제공한다. 또한, 수강생이 무용 동작이나 소리 등을 반복적으로 따라하며 익힐 수 있는 연습 영상도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가감(加減)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전통음악의 창작법 중 하나인 더늠’(더함)덜이’(덜어냄) 기존 전통 악곡을 재구성한 색다른 기획공연을 선보인다.
     
    국립국악원은 오는 845일 양일간 민속악단(예술감독 지기학)의 기획공연 가감(加減)’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전통음악의 창작 방법인 더늠덜이를 통해 우리 음악의 영역을 확장 시키기 위한 무대로 마련했다. ‘더늠으로 음악의 가락과 악기를 더해 풍성하게 만들고, ‘덜이를 통해 소리와 무용 등을 덜어내면서 음악의 구조와 근본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번 가감공연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음악적 표현법을 활용해 본래의 민속악이 품고 있는 매력을 더욱 풍성하게 또는 더욱 돋보이게 관객들에게 전할 예정이다.
     



    기획공연 ‘가감(加減)’

    가야금병창, 잡가, 서도민요에는 풍부한 음색을 더했다. 가야금병창에는 아쟁과 북을 더한 심청가와 퉁소를 더한 적벽가’, 거문고를 더한 심청가, 서도민요에는 대금을 더한 수심가엮음수심가’, 해금과 징을 더한 배따라기를 들려준다. 잡가로는 거문고를 더한 바위타령과 양금을 더한 소춘향가더늠을 느낄 수 있는 풍성한 성음을 전한다.
     
    덜이로 표현하는 곡들도 눈길을 끈다. ·서도의 대표적인 소리인 창부타령산염불에서는 김영재(국가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산조 보유자) 명인이 소리를 덜어낸 기악 합주곡으로 재구성했고, ‘태평무무춤이 없는 태평무에서는 무용을 덜어내 춤사위 못지않은 화려한 타악 장단과 관현악의 섬세하고 화려한 가락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꾸몄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기획공연 가감은 국립국악원 누리집에서 예매 가능하다. 전석 2만원

    여름나기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여름방학을 맞아 82일부터 13일까지 어린이와 가족을 대상으로 여름나기방학교육을 실시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무더위와 코로나에 지친 어린이와 가족들을 위해 비대면교육 프로그램 여름의 낮과 밤’(82~86) 바람 소리’(89~813), 대면교육 프로그램  AR로 즐기는 민속놀이’(89~813)준비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이번 방학교육을 기획하면서, 보다 참신한 교육 프로그램 발굴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 등 외부 공모를 통해 주제를 선정했다. 특히 상설전시관의 여름내용을 담아 전시연계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상설전시관의 여름의 낮과 밤을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옛사람들은 여름의 낮과 밤에 어떻게 더위를 이겨냈을까? 교육은 정월대보름의 더위팔기풍속에서 시작된다. 만만치 않은 여름 더위를 미리 예방하는 옛사람들의 마음을 공감해 본다.

    먼저 여름의 낮시간에는 여름 세시풍속과 함께 하는 여름나기를 탐구할 수 있다. 단오의 부채 나누기, 유두의 물놀이, 삼복의 보양식 먹기 등의 풍속을 통해 더위를 이기는 지혜를 찾아본다. 이어 여름의 밤시간에는 옛사람들의 밤 산책 야행을 통한 여름나기를 살펴본다.

    밤마실을 다니면 바라본 하늘은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확인하고, 그 별자리를 담아 여름밤을 비추는 조명등을 만든다면 열대야도 거뜬히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는 바람 소리를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바람을 독특한 시선으로 접근하여 여름나기를 함께 생각해 보는 점이 신선하다. 어린이들에게는 어떤 바람이 있는지 함께 들어보고, 간절한 바람을 생활 속에 어떻게 담아볼지 탐구해 본다.

    옛 가락에 자신의 바람을 담은 가사로 노래를 만들어 불러보기도 하고, 국화·나비 등 옛사람들의 바람을 담은 부채 문양도 살피면서 시원한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를 활용해 자신의 바람을 담아내기도 한다. 상설전시관에 있는 팔덕선, 태극선, 합죽선, 단선 등 전통부채의 아름다움과 쓰임새를 알아가면서 내가 꾸민 부채에 나만의 바람을 담으며 여름의 무더위를 이겨보는 건 어떨까?
     
    미리 교육을 신청하지 못했다면 현장접수로 진행하는 ‘AR로 즐기는 민속놀이를 권해본다. 컬러링북에 색을 칠하고 AR 콘텐츠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민속놀이(그네타기, 연날리기, 팽이치기, 널뛰기 등 4)를 즐기며 증강현실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육은 철저한 방역을 준수하며 진행된다.
     
    이번 방학교육의 신청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추첨으로 진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올댓아트 김지윤 에디터
    allthat_art@naver.com

    콘텐츠 더 보기

    Share this
    Tags

    Must-read

    안녕하세요 저 뫄뫄인데요 이건희 컬렉션 있나요? (。・∀・)ノ゙ 리움미술관 가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 예술의 모든 것|이건희 컬렉션 있나요? (。・∀・)ノ゙ 리움미술관 가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사립 미술관 중 최대 규모🖼 삼성문화재단의 '리움미술관' 전격 재개관! 리움미술관이 왜 대단한데? 거기 가면 이건희...

    [인턴일기][VLOG] 근무 중인데요 최애 공연 보러 왔습니다^o^/ 권진아X선우예권의 커튼콜 후기!

    ※ 본 영상은 CJ ENM / 롯데콘서트홀의 협조 및 사전 협의 하에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촬영되었습니다. ■ 올댓아트 인턴일기|VLOG|권진아X선우예권|커튼콜 CJ ENM 그런 기분 알아요? 근무...

    사람들은 날 좋아해 나한테 막 미쳐 근데 난 그걸 몰라^^; '하하버스' 실사판 조성진이 대단한 이유

    ■ 예술의 모든 것|사람들은 날 좋아해 막 미쳐 근데 난 그걸 몰라^^; '하하버스' 실사판 조성진이 대단한 이유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조성진! 아이돌 능가하는 인기로 '클래식계...
    spot_img

    Recent articles

    More like this